회계원리 회계순환과정 3편 기말수정분개 매출원가

 

회계원리 요약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며칠 동안 기말수정분개를 정리해볼 예정이며, 오늘은 기말수정분개의 의미와 기말수정분개를 진행하는 계정 중 매출원가를 어떻게 기말에 수정 분개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오늘 정리하는 부분부터는 조금씩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눈을 크게 뜨고 잘 봐주셔야 합니다.

 

회계원리-썸네일
회계순환과정-기말수정분개-썸네일

 

 

기말수정분개를 하기 앞서서, 기말수정분개를 하기 위해서는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하지만, 분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분개에 대한 이해가 없으신 분들은 앞의 포스팅을 확인하고 오시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회계원리 복식부기 5편 분개와 차변 대변 등식

 

회계원리 복식부기 5편 분개와 차변 대변 등식

오늘 회계원리 복식부기 포스팅에서는 차변, 대변 분개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차변과 대변을 구성하는 분개 공식과 복식부기 관련된 몇가지 개념을 확인해보려 합니다. 이전에 진행해 온

issueaddiction.tistory.com

 

 

 

기말수정분개란?

기말수정분개는 무엇일까요? 앞의 포스팅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회계기간 중에 우리는 발생한 거래들에 대해서 분개를 하게 됩니다. 이후, 총계정원장(GL)에 해당 분개들을 전기한 이후, 기말에 시산표를 작성하게 되지요. 정리하자면 회계 기간 중 분개를 진행한 후, 총계정원장 전기 후, 시산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 총계정원장과 시산표를 모르시는 분들은 앞서 정리한 글을 확인하실 수 있도록 연결해두었습니다. 개념을 알고 계신 분들은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

총계정원장이란? 시산표란?

 

하지만, 총계정원장에 전기한 각 계정의 잔액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회계기간의 현금 전체를 수익과 비용으로 인식한 것 중, 2개 이상의 회계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는 경우

(2) 당기에 현금 지출이나 수업이 없었더라도, 당기에 발생한 것으로 해야 할 것이 있는 경우

(3) 유형자산 등의 가치가 감소하지만, 장부상 금액이 수정되지 않는 경우

(4) 회계 기간 중 거래가 발생했지만, 수익과 비용을 회계처리하지 않은 경우

(5) 기말에 평가된 가치와 발생 시점의 가치가 다른 자산과 부채가 있는 경우

 

위와 같은 이유로 조정 분개하는 것을 기말수정분개라고 하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전, 기말 현재액과 자산/부채/자본의 잔액을 일치시키고 수익과 비용 계정의 잔액도 당기 발생액과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1) 매출원가

앞서 분개를 할 때 우리는 상품을 판매하고, 해당 상품의 구입 원가를 매출원가 비용으로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상품을 판매할 때마다 매출원가를 분개하는 것은 어려운데요. 이유는 상품의 구입과 판매는 여러 번 있으며, 그때그때의 구입한 원가와 매출금액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품 판매 시에는 매출에 대한 분개만 하고, 매출원가는 기말에 일괄로 수정분개합니다. 아래와 같은 계산으로 기말에 매출원가를 한 번에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매출원가 공식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위의 공식이 이해가 가지 않는 분들을 위해 예를 들어보자면, 2022년 1월 1일에 재고액이 1000원 있었고, 2022년에 재고를 매입할 때 2000원이 들었고, 2022년 12월 31일에 재고액이 500원 남았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럼 당연히 2022년 12월 31일까지 상품이 매입된 금액은 3000원(1000 + 2000) 일 겁니다. 그런데 기말에 500원이 남았어요. 그럼 2500원만큼의 원가를 갖고 있는 재고가 2022년에 판매된 거겠죠? 따라서 해당 금액이 매출원가가 되게 됩니다.

 

이전 포스팅까지 분개 연습문제를 풀 때 매출원가를 문제에서 알려주었기 때문에, 매입 시에 상품이라는 자산으로 매입을 하고, 매출을 일으킬 때 바로바로 매출원가를 처리해주었었는데요.

 

매출원가를 기말수정분개로 일괄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품을 구매할 때 차변에 상품이라는 계정이 아니라 매입계정을 사용해서 분개하며, 기말수정분개는 매입을 대변 기록해 자산을 내려주면서 매출원가를 잡아주게 됩니다. 아래 분개를 보시면 이해가 되실 거예요.

 

아래를 표로 그리기는 했지만, 보기 좋게 그리기 위해서 표를 사용한 것이고 일반 분개입니다.

 

[상품 구입 시]

차변 대변
매입           XXX 현금(or 매입채무)           XXX

 

[상품 판매 시]

차변 대변
현금(or 매출채권)         XXX 매출           XXX

 

[기말 수정 분개]

차변 대변
매출원가        XXX
매출원가        XXX
상품(기말)      XXX
상품(기초)       XXX
매입               XXX
매출원가         XXX

 

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초 재고인 상품과 상품 구입 시 계정인 매입에 대한 차감을 매출원가라는 비용으로 분개를 해줬습니다. 즉, 갖고 있는 재고를 다 판매한 것처럼 일단 분개를 다 해줍니다. 이후, 기말에 남은 상품을 차변에, 매출원가를 대변에 분개하여 상품이라는 자산을 증가시키면서 위에서 비용화 했던 매출원가 중에 남은 재고만큼을 다시 비용을 소거해주는 것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매출원가의 기말수정분개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대충 보면 조금 번거롭고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천천히 읽어보시면 분명 이해가 가실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제가 이해하기 좋게 설명을 잘 드리고 있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정독하실 수 있게 각 캡쳐 별 맨 처음 포스팅을 아래에 적어두도록 하겠습니다.

 

회계원리 Chapter 1 복식부기 요약정리

 

회계원리 복식부기 요약정리 1편

오늘 포스팅에서는 회계의 정의, 회계의 분류, 기업회계기준 제정,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주식회사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앞으로 세무사 과목들을 공부하며 회계요약정리를 작성해갈 예

issueaddiction.tistory.com

 

 

회계원리 Chapter 2 회계순환과정 요약정리

 

회계원리 회계순환과정 1편 총계정원장

지난 포스팅까지 복식부기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오늘부터는 회계순환과정에 대해 정리할 예정입니다. 내용은 총계정원장, 시산표, 기말수정분개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회계원

issueaddiction.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